≪훈민정음≫ 해례본 발견 80주년 기념, ≪훈민정음≫ 해례본 이야기 28 전시
≪훈민정음≫ 해례본 발견 80주년 기념, ≪훈민정음≫ 해례본 이야기 28 전시를 마련하며
김슬옹
≪훈민정음≫ 해례본 발견 80주년 기념, ≪훈민정음≫ 해례본 이야기 28 전시는 서울특별시가 주최하고 우리 세종국어문화원이 주관하고, 간송미술문화재단이 후원하는 574돌 한글날 기념 행사다.
2020년은 ≪훈민정음≫ 해례본이 1940년에 발견되어 간송 전형필 선생이 소장한 지 80주년이 되는 해이다. 세종대왕은 1443년 훈민정음 창제를 마무리하고 1446년에 ≪훈민정음≫ 해례본으로 백성들한테 새 문자를 알렸으므로 올해는 해례본 간행 574주년이기도 하다.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1443년에 창제한 것도 기적이었고, 1446년에 해례본으로 알린 것도 기적이었고 사라진 해례본이 1940년에 발견된 것도 기적이었다.
이 책에 얽힌 이야기는 실제 영화보다도 더 극적이고 흥미롭다. 재미와 흥미에 그친 것이 아니라 거기에는 보편적이고 체계적인 논리와 쉬운 문자로 지식과 정보를 나누고자 하는 감동과 공감이 서려 있다. 이번 전시는 바로 이러한 해례본의 내용과 역사에 담긴 감동을 나누고자 기획하였다.
28대 이야기 선별 기준은 첫째, 온 국민이 교양 차원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해서 알아야 할 것을 뽑았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와 ≪훈민정음≫ 해례본의 주요 내용, ≪훈민정음≫ 해례본의 주요 특징 등을 입체정보그림(인포그래픽)과 그림으로 표현했다.
내용 구성은 필자가 했고 그림은 이무성 화백이, 입체정보그림은 박용훈, 양효정, 강수현 디자인들이 맡아 했다. 전시는 9월 28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서울시 도서관 외벽에 액자와 배너 형식으로전시한다.
내용 구성물은 다음과 같다.
1. ≪훈민정음≫ 해례본의 계승 역사
2. ≪훈민정음≫ 해례본의 짜임새
3. ≪훈민정음≫ 언해본, 어떤 책인가?
4. ≪훈민정음≫ 해례본이 출판(간행)되기까지 얼마나 걸렸을까?
5.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1940)되기까지 얼마나 걸렸을까?
6. ≪훈민정음≫ 해례본도 쪽수가 있을까?
7. 해례본은 몇 글자로 이루어졌을까?
8. 한글날 주요 역사
9. 해례본의 기본 28자의 최초 글꼴
10. ≪훈민정음≫ 해례본 간행에 도움을 준 신하는 누구인가요?
11. 한글날은 왜 10월 9일이 되었나요?
12.≪훈민정음≫ 해례본(간송본) 영인본ㆍ복간본 간행사
13. 훈민정음 28자를 만든 원리와 짜임새
14. 자음 오행도
15. 모음 오행도
16. ≪훈민정음≫ 해례본(간송본) 소장 경위도
17. ≪훈민정음≫ 해례본 앞 두 장은 원본이 아니라는데 어떻게 복원될 수 있었을까?
18. ≪훈민정음≫ 해례본에 나오는 첫 한글과 마지막 한글은?
19. 세종대왕이 ≪훈민정음≫ 해례본 간행 후 훈민정음 보급을 위해 추진한 7대 정책
20. 훈민정음 창제와 ≪훈민정음≫ 해례본이 나오기까지의 긴 세월, 극한의 고통
21. ≪훈민정음≫해례본이 나오고 나서 세종대왕이 제일 먼저 할 일은?
22. ≪훈민정음≫ 보급을 위해 언문청을 설치하다
23. ≪훈민정음≫ 해례본 편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사건
24. ≪훈민정음≫을 국가 시험 과목으로 채택하다
25. 1447년(세종 29년) 처음으로 펴낸 한글 불교책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
26. ≪훈민정음≫ 해례본 간행 후 최초 훈민정음 사건
27. 1940년 ≪훈민정음≫ 해례본 전형필 선생이 소장하여 지켜내다
28. ≪훈민정음≫ 해례본의 계승: ≪훈민정음≫ 해례본을 가슴에 품자
<특별> ≪훈민정음≫ 해례본의 진실과 감동을 갈무리한 ‘정인지서(번역)’를 읽자